첨단소재 R&D 발전전략 요약(제공: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100대 첨단소재, 100대 미래소재로 구분하는 ‘투트랙(Two-Track) 연구개발(R&D) 체계’로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소재 분야 연구자와 수요·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첨단소재 기술 성장 협의체(가칭)’를 구성해 소재 원천기술의 현안 대응력을 높인다. 아울러 첨단 연구를 위한 소재 기술 혁신 생태계도 조성해 나간다.
최근 인공지능(AI) 활용 연구를 소재 연구에 도입하기 위한 소재 연구 AI·데이터 생태계 플랫폼의 기능을 더욱 확대하고 소재 연구 HUB 사업을 추진한다.
최근 조사 결과를 보면 첨단소재의 기술 수준이 미국, 일본에 이어 중국도 우리를 추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첨단소재의 기술력 저하는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핵심 공급망의 위협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먼저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100대 첨단소재(5년 내외), 100대 미래소재(10년 이상)로 구분하는 Two-Track R&D 체계로 강화할 방침이다.
특정 국가에 높은 대외 의존도 등으로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100대 첨단소재를 발굴하고 향후 5년 내외로 조속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사업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
10년 이상의 중장기 미래의 기술 혁신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해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심으로 100대 미래소재에 대한 R&D를 차질 없이 지원해 향후 10년 이후의 초격차 원천기술 확보도 병행해 나간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과가 다양한 분야로 활용 및 확산할 수 있도록 첨단소재 기술 성장지원 체계도 새롭게 구축할 계획이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