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양자 과학기술과 산업 육성을 위해 지난해보다 51.4% 늘어난 1980억 원을 투자해 총 24개 사업을 진행한다. 특히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과 양자정보 계측방법론 및 원천기술 개발 사업 등은 신규로 추진하고 양자 연구거점 2곳을 선정하는 퀀텀 플랫폼 사업도 새로 시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양자과학기술의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올해 15개 사업 32건 신규 과제를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3대 게임체인저 기술 중 하나로 중점 투자하고 있다.
올해 양자과학기술 관련 전용 예산은 지난해보다 54.1% 늘어난 1980억 원으로 총 24개 사업을 진행하고 그 중 15개 사업에서 32건의 과제를 새롭게 시작할 예정이다. 새로 추진하는 주요 사업 중 하나는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이다.
이 사업은 성능이 검증된 양자컴퓨터를 국내에 설치하고 이를 연구현장에 제공해 양자컴퓨팅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양자통신 소재의 국산화와 기술 개발 자립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퀀텀 ICT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통신)' 사업과 미래 양자기술 기반이 되는 새로운 계측 방법론을 연구하는 '양자정보 계측방법론 및 원천기술 개발(퀀텀 메트롤로지)' 사업도 신규로 추진한다.
또한 '양자과학기술 글로벌 파트너십 선도 대학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 대학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활용해 양자과학기술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전략적으로 확대하고 세계 수준의 양자 기술 확보를 위한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